안드로이드 Privacy Sandbox는 2022년 2월 첫 공개된 이후 약 2년의 기간을 두고 적용될 정책/기술이기에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내용들이 많으며 지금 발표된 정책/기술들도 변동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Google은 Android Privacy Sandbox의 기능중 하나로,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며서 관심사 기반 타겟팅을 실행할 수 있는 Topics API를 출시했습니다.
Google은 23년 2월 14일 Android Privacy Sandbox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고, Android 13 버전이 탑재된 일부 기기에 이미 적용하며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Android Privacy Sandbox의 기능 중 하나인 Topics API는 기존의 관심사 타겟팅 방식과는 다르게, 개인 식별자(Google Advertising ID)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관심사를 부여하고 해당 관심사 정보를 광고에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다가오는 Google의 광고 관련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마케터 모두 이해하고 접근하기를 기원하며 이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Ⅰ. Topics API 소개
광고주는 자신의 비즈니스와 연관성 있는 광고가 적합한 타겟에게 게재되기를 희망하고, 사용자 또한 자신과 관련성이 높은 광고를 보는 긍정적인 경험을 원합니다. Topics API를 활용한 관심사 기반 타겟팅에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면서 관심사 타겟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Topics API는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사용자에게 관심사(Topic) 부여: Android OS가 사용자가 설치한 앱 및 앱 활동 기준으로 사용자의 관심사를 부여합니다.
2. 사용자의 관심사를 확인하고 싶은 주최에게 전달: 관심사 기반 광고 게재를 원하는 앱의 광고 SDK에게 관심사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Android OS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기에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기기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Ⅱ. Topics API 알아보기 - 관심사(Topic) 부여
Topics API가 사용자의 관심사를 부여하는 방법
Google은 Google Play Store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각의 앱들에게 연관된 관심사를 정의하였습니다. 각 앱은 최대 3개의 관심사와 연관될 수 있고, 관심사 카테고리제이션은 오픈소스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Topics API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관심사를 부여합니다. Topics API는 1에포크(Epoch)마다 사용자의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앱 그리고 앱 활동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상위 5개의 관심사(Topic)를 부여합니다. 이러한 관심사 정보는 총 3에포크 동안 저장됩니다.
현 시점 Google이 정의하는 1에포크는 7일 입니다.
Ⅲ. Topics API 알아보기 - 관심사(Topic) 전달
특정 사용자의 관심사를 확인하고 싶은 주최(광고SDK)가 관심사를 확인하는 방법
관심사를 확인하고 싶은 주최(특정 앱 혹은, 특정 앱에 탑제되어 있는 제3자의 SDK)는
Topics API를 통해 사용자 관심사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
95%의 확률로, 사용자가 부여 받은 상위 5개의 관심사 중 1가지를 공유합니다.
•
5%의 확률로, 모든 관심사 중 1개를 랜덤하게 공유합니다. (데이터 노이즈 발생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함)
•
이미 지난 1 에포크동안 관심사를 호출한 이력이 있다면 새로운 관심사가 전달되는 것이 아닌
이미 해당 에포크에 전달된 관심사가 다시 전달됩니다.
•
최근 3에포크 동안의 관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Ⅳ. Topics API 특이사항
Google은 개인정보 보호 장치를 마련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약 사항들을 Topics API에 구현하였습니다.
1.
사용자의 관심사를 확인하고 싶은 주최 (특정 앱 혹은 특정 앱에 탑재되어 있는 제 3자의 SDK)는, 해당 주최가 존속하는 앱이 해당 관심사에 연관된 앱 일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예시)
홍길동의 기기에 설치된 앱 | 관심사 | Topics API를 호출하는 앱에 심겨져 있는 광고 SDK |
A | 건강, 여행 | Applovin, Unity Ads |
B | 게임 | Unity Ads, Meta |
C | 금융, 재테크 | Meta |
D | 여행,운동 | Moloco |
위 예시에서, Topics API가 홍길동에게 건강, 여행, 게임, 금융, 재테크 총 5개의 관심사를 부여하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Unity Ads가 홍길동의 관심사를 요청하면, Unity Ads는 건강, 여행, 게임에 대한 관심사만 전달 받을 수 있으며, 금융/재테크는 받을 수 없습니다.
2.
Google은 Google Play Store의 앱들을 분류할 때, 민감한 관심사(인종, 성적 지향, 정치적 성향)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동적으로 필터링 하며 정보 수집을 방지합니다.
Ⅴ. Topics API 예시
위에서 설명한 Topics API 작동 방법을 예시들과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예시 1.
Topics API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관심사 부여 및 맞춤 광고 노출
Samuel은 기기에 총 6개의 앱을 설치 및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6개의 앱은 각각 채식, 음악, 메이크업, 다이어트, 화장품 관심사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Topics API는 이번 에포크에 메이크업을 뺀 나머지 5가지 관심사를 Samuel에게 부여하였습니다.
Samuel의 관심사가 궁금한 주최(광고주 or 매체)는 Topics API를 호출하고
Samuel의 관심사 정보를 습득합니다.
ex. Meta는 Topics API를 통해 ‘채식’이라는 관심사 정보를 받음
추후에 Samuel에게 광고를 보여줄 기회가 생겼을 때, Meta는 ‘채식’ 연관된 광고 게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관심 주제 분류 및 Topics API 호출을 통한 맞춤 관심사 타겟팅 로직
출처: https://developer.android.com/design-for-safety/privacy-sandbox/topics?hl=ko#details
예시 2.
각 에포크 별로 습득할 수 있는 관심사 데이터의 변화 예시
1에포크: Topics API는 Samuel의 지난 1에포크 동안의 활동 내역 기반으로 Samuel의 상위 관심사 5개 (채식, 음식, 화장품, 건강, 다이어트)를 부여했고, Meta는 Topics API를 통해 1에포크에는 채식을 전달 받습니다.
2에포크: Topics API는 2에포크 활동에 따라 Samuel의 새로운 관심사 5개를 (채식, 음악, 스포츠, 건강, 다이어트) 부여했고, Meta는 Topics API를 통해 1에포크 관심사였던 채식과 2에포크 관심사인 음악을 전달 받습니다.
3에포크: Topics API는 지난 1, 2, 3에포크마다 Samuel의 활동에 따라 상위 관심사를 업데이트하고, 관심사를 호출한 Meta는 1에포크마다 1가지씩 업데이트된 관심사 정보를 전달 받습니다. 이를 통해 Meta는 3에포크까지 누적된 관심사 정보인 3가지의 관심사(채식, 음악, 패션) 정보를 습득합니다.
4에포크: Topics API는 이번 에포크의 새로운 관심사를 업데이트하고 Meta에게 1에포크때 전달했던 채식 정보는 제공하지 않으며, 대신 2에포크때 전달하였던 음악, 3에포크 패션, 4에포크에서의 재테크 관심사로 최대 3가지 관심사만 Meta에게 전달합니다.
결론
기존에는, Google Advertising ID라는 유저 식별 값을 활용하여, 광고주 혹은 광고 매체에서 자체적으로 각 사용자에게 관심사를 부여고 저장하여 광고 노출에 활용하였습니다.
Topics API를 통한 관심사 타겟팅은 사용자의 기기에서 에포크동안 사용자의 앱 활동을 추적하고 사용자에게 5가지의 관심사를 부여합니다. 이후, 관심사를 알고 싶어하는 주최는 Topics API에게 사용자가 에포크동안 활동한 관심사를 호출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관심사를 확인하여 맞춤 관심사 광고를 노출 시키게 됩니다.
Apple의 SKAdNetwork의 정책과는 다르게 Google의 Privacy Sandbox는 개인정보 보호와 함께 현재의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이 조화 될 수 있도록 새로운 디지털 마케팅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프라이버시 시대 광고 업계의 주체 역할을 담당하려는 Google의 태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년 말에 정식 런칭 예정으로 남은 기간 동안 세부적인 기술 변화가 있을 수 있겠지만, Topics API로 관심사 타겟팅을 활용해 맞춤형 광고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주제로 Google은 소비자와 구매자들에게 합리적인 마케팅을 제공하기 위해 좋은 방향성으로 가고 있으나, 현시점까지는 효율적인 타겟팅이 가능할 지에 대한 의문점도 함께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적인 의문점에 대해서는 축구에 관심 있는 사용자에 대해 모든 스포츠(농구, 야구 등) 관심사로 부여될 경우, 축구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에게 야구와 관련 있는 광고가 노출되는 것과 같이 명확한 관심사 분류에 대한 모호함, 사용자의 무효 클릭으로 인한 활동 데이터로 에포크동안의 잘못된 관심사가 부여될 수 있다는 기술적인 이슈가 존재할 수 있어, 남은 기간 기술적으로 타겟팅에 대한 의문점을 해소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Google은 GAID가 없는 디지털 환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는 앞으로 남은 1년이라는 기간 다가오는 프라이버시 정책을 확인하고 활용하기 위해 스터디 하면서 변화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글쓴이
유승민
리메이크 퍼포먼스 마케팅 매니저
블로그 전체 리스트로 돌아가기 클릭
리메이크 디지털 에이전시 - "디지털 광고를 새롭게 만듭니다"